TRIEL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TPC-ET, TPEE, COPE)로서 뛰어난 내화학성, 내열성, 내후성, 저온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특징
-
내화학성
-
내열성
-
내후성
-
저온 유연성
적용분야
자동차
화학구조
TPC-ET는 PBT 하드 세그먼트와 지방성 에테르 소프트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블록 코폴리머입니다. 하드 세그먼트가 PBT와 동일한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어,
PBT-탄성중합체로 불리기도 합니다. PBT 하드 세그먼트는 결정성 폴리머로서 물성에 영향을 미치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준하는 기계적 강도를 제공합니다.
PTMG(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은 고무에 유연한 특성을 부여하는 지방성 에테르 소프트 세그먼트로 사용됩니다.

Shore A,D 전환
TPC-ET는 주로 PBT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높아질수록 TRIEL®의 경도는 낮아지며 TRIEL은 대략 28D(82A)의
경도 수치까지 낮아질 수 있습니다. Shore D는 경도를 나타내는데 쓰이며 Shore D와 Shore A 경도 단위 전환은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RIEL 베이스 레진 : 용융점도 VS. 온도
TRIEL의 유변특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성과 유사합니다. 각 Grade의 용용온도, 결정화온도 및 대략적인 공정온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공방법과 전단력에 의한 용융점도의 변화는 결정성 고분자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냅니다. 온도에 따른 용융점도의 변화는 아래와 같습니다.

비할로겐 난연 TRIEL
TPC-ET가 자동차, 전선, 섬유, 필름 같은 분야에 적용되려면 비할로겐 난연 특성이 반드시 요구됩니다.
TRIEL은 비할로겐 난연 특성이 부여된 Grade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TPC-ET는 저하된 인장 강도와 인장 변형률 때문에 활용이 제한되지만
삼양사 AM BU TRIEL은 이러한 결점을 최소화 하였습니다.

Grade
Grade | 소재 | 특성 | 용도 | Datasheet | |||
---|---|---|---|---|---|---|---|
TDS | UL | ||||||
TRIEL SB5802A | TPEE | 사출성형,저경도 | 부속품 | 파일 | |||
TRIEL PZ5451SP | TPEE | 사출성형 | 산업재 | 파일 | |||
TRIEL PZ5063SP | TPEE | 사출성형 | 패키징 | 파일 | |||
TRIEL HV5401BH | TPEE | 중공성형,중경도 | 자동차 내장재 | 파일 | |||
TRIEL AS5401BM | TPEE | 중공성형,중경도 | 자동차 내장재 | 파일 | |||
TRIEL 5722SPU | TPEE | 사출성형,UV | 산업재 | 파일 | 파일 | ||
TRIEL 5722EM | TPEE | 사출성형 | 잡화 | 파일 | |||
TRIEL 5721EF | TPEE | 방사 | 잡화 | 파일 | |||
TRIEL 5720 | TPEE | 사출성형 | 잡화 | 파일 | |||
TRIEL 5652EM | TPEE | 사출성형 | 잡화 | 파일 |